ABSTRACT LOG 기재 사항 및 요령 첫번째~~
5. ABSTRACT LOG의 기재 사항 및 기재 요령
가. 작성 및 제출
1) 작성
ABSTRACT LOG는 전 선박 공히 지정된 회사 양식으로 1부를 작성하여 선장이 직접 날인후 본선 보관토록 한다.
2) 제출시기 및 방법
전 선박은 공히 AB-LOG를 항차 종료항 출항후 5일 이내에 작성하여 운항팀으로 FAX를 이용하여 송부한다.
단, 벌크선대중 한국전력 및 포항제철과 전용선 계약이 되어 있는 선박은 AB-LOG 원본을 2부 작성하여 FAX 선송부에 상관없이 원본1부(용지에 빨간 직인 또는 볼펜등을 이용한 SIGN이 있어야 되며 사본은 안됨)를 운항팀으로 송부한다.
나. 작성요령
1) 용어 정의
가) TIME OF(시각)
(1) TIME OF S/B ENG.
당해항구에 입항하기 위하여 S/B ENG.을 한 시각을 말한다.
(2) TIME OF ANCHOR
당해항에 입항하여 최초로 투묘한 시각을 말한다.
(3) TIME OF FIRST LINE
당해항에 입항하여 첫 홋줄을 잡은 시각을 말한다.
(4) TIME OF COMM'CED WKG
당해항에 입항하여 하역작업을 시작한 시각을 말한다.
(5) TIME OF COMP'TED WKG
당해항에 입항하여 하역작업을 종료한 시각을 말한다.
(6) TIME OF LAST LINE
당해항을 출항하기 위하여 LAST LINE을 벗긴 시각이며, 당해항에서 DRY DOCKING을 마치고 차항으로 출항하기 위하여 LAST LINE을 벗기거나 또는 DRY DOCKING을 마치고 차항으로 출항하기 위하여 LAST LINE을 벗긴 시각을 말한다.
(7) TIME OF ANCHOR AWAY
당해항을 출항하기 위하여 UP & DOWN을 한 시각이며 당해항을 출항하기 위하여 LAST LINE을 한 후 어떠한 사유로 인하여 ANCHORING을 한 경우에는 다시 출항하기 위하여 UP & DOWN ANCHOR를 한 시각을 말한다. 따라서 당해항을 입항하기 위해서 ANCHORING을 한 후 접안을 위해서 UP & DOWN을 한 시각이 아님을 유의 하여야 한다.
(8) TIME OF R/UP ENG
당해항을 출항하여 차항으로 항진하기 위하여 R/UP ENG.을 한 시각을 말한다.
나) DETENTION IN PORT (지연사유 : A,B,C,D,E,F.G,O,P,R,S)
정박시간에서 순수 접안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으로 당해항 입항후 접안시까지, SHIFTING한 시간을 포함하는 접안중 지연시간 및 이안후 출항시까지의 지연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난으로, 지연사유를 표기( 원인이 여러가지일 경우 비중이 큰 순서부터 표기 )하며, 보다 상세하게 기술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REMARK란을 이용하여 기술한다. 입거를 하기위한 시간도 이시간에 포함되며 다음과 같다
(1) 입거후 당해항 재입항의 경우 입거를 하기위한 LAST LINE 시각부터 입거종료후 하역을 위하여 FIRST LINE을 한 시각을 말한다
(2) 입거 종료후 차항으로 항해한 경우 입거를 하기위한 LAST LINE 시각부터 입거 종료후(이때 소모된 F.O, D.O, MILE수는 생략한다) 차항으로 항해하기 위하여 LAST LINE을 벗긴 시각 또는 ANCHOR AWAY한 시각을 말한다. 또한 그 상황이 기재하기가 애매한 경우(사유 또는 시간) REMARK란 또는 별지를 활용 제반시각을 기입하면 된다.
다) STOPPAGE (지연사유: A, B, C, O)
(1) HARBOUR
당해항을 출항하기 위하여 LAST LINE 또는 ANCHOR WAY한후 R/UP ENG.까지의 시간중 어떠한 사유로 인하여 ENG.을 STOP한 시간(STOP ENG. 부터 RESTART ENG. 까지)과 차항을 입항하기 위하여 S/B ENG. 한후 ANCHOR 또는 FIRST LINE 까지의 시간중 어떠한 사유로 인하여 ENG.을 STOP한 시간(STOP ENG.부터 RESTART ENG.까지)을 합한 시간을 말한다.
(2) AT SEA
당해항에서 차항으로 항해(당해항을 출항하여 R/UP ENG. 한 시각부터 차항을 입항하기 위하여 S/B ENG.한 시각까지)중 어떠한 사유로 ENG.을 STOP한 시간(STOP ENG. 부터 RESTART ENG. 까지)을 말한다.
라) DISTANCE
(1) HARBOUR STATION OUT
당해항을 출항시 부두부터 R/UP ENG.한 지점까지 항행한 거리로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정수단위로 기재한다.
(2) HARBOUR STATION IN
차항항을 입항시 S/B ENG.한 지점부터 부두까지 항행한 거리로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정수단위로 기재한다.
(3) SEA STEAMING OBSERVED
당해항을 출항하여 R/UP ENG.한 지점부터 차항을 입항하기 위하여 S/B ENG.을 한 지점까지 항행한 실제 거리로 정수단위로 기재한다.
(4) SEA STEAMING PROPELLING
당해항을 출항하여 R/UP ENG.한 지점부터 차항을 입항하기 위하여 S/B ENG.을 한 지점까지 항행한 ENG. PROPELLING 거리로 정수단위로 기재한다.